본문 바로가기

Y14.5

초급 #23 데이텀을 통해 공차영역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치수공차가 가지고 있는 가장 본질적인 문제는 공차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치수공차는 파트의 높이와 너비 자체는 통제할 수 있지만 파트의 높이와 너비가 서로 수직이 요구됨을 나타낼 수 없고, 따라서 이를 보장할 수도 없다.그림에서 평행공차는 데이텀 A로 표시된 A면에 평행이 요구됨을 나타내고, 평행공차를 통해 평행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수직공차는 A면에 수직이 요구됨을 나타내고, 수직공차를 통해 수직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윤곽공차는 데이텀 A를 먼저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면인 A면과 수직인 관계를 정의하며, 옆면인 B면과 정해진 거리에 위치할 것을 보장한다. 이는 데이텀 피쳐 B를 참조하고 베이직 치수 30이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이렇게 .. 더보기
기초 #04 피쳐의 이해 1 : 피쳐란 무엇인가? 기하공차의 FCF는 피쳐를 대상으로 해당 피쳐를 통제한다. 그렇다면 피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피쳐를 알기 위해서 ASME Y14.5 정의를 살펴보자.feature : a physical portion of a part (such as a surface, pin outside diameter, hole, or slot) or its representation on drawings, models, or digital data files.ASME Y14.5-2018 - para 3.31 ASME Y14.5는 피쳐를 "파트의 물리적인 부분 또는 파트의 물리적인 부분이 도면, 모델, 또는 데이터 파일에 표현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서피스, 핀, 홀, 슬롯을 물리적인 부분의 예로 들고 있다.AS.. 더보기
기초 #03 FCF를 읽는 방법 FCF를 읽을 수 있다면, FCF에 의해 피쳐가 어떻게 통제되는지 알 수 있다. 예시를 통해 FCF를 읽는 방법을 알아보자.일반적인 FCF의 구성FCF는 다음과 같이 4종류의 정보를 포함한다.1. 통제대상은 피쳐를 지시하여 나타낸다.2. 통제특성은 기하공차 종류 심볼을 표기하여 나타낸다.3. 통제정도는 공차영역을 정의하여 나타낸다.4. 통제기준은 기준으로 삼으려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명시하여 나타낸다.예시1 ① 지시한 피쳐가 통제대상이 된다.② 특정 모양(평면)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통제특성]③ 공차영역의 형상은 평행면형이다. [통제정도:형상]④ 공차영역의 크기는 0.1이다. [통제정도:크기]예시2 ① 지시한 피쳐가 통제대상이 된다. [통제대상]② 특정 자세(수직)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 더보기
최종적으로 DRF의 자유도가 무엇이 남는지가 중요하다. 데이텀 피쳐에 의해 데이텀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텀의 종류에는 데이텀 점, 데이텀 선, 데이텀 면이 있다. 점, 선, 면은 기하학적 근본이 되는 요소이다. 각각의 데이텀은 가지고 있는 자유도가 다르고, 가지고 있는 자유도에 따라 제한되는 자유도가 달라진다. 먼저 데이텀 점을 살펴보자. 데이텀 점을 공간상에 놓으면 데이텀의 x좌표, y좌표, z좌표가 고정된다. 원점에 놓인 데이텀 점은 더이상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y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데이텀 점의 병진자유도는 완전히 제한된다. 하지만 공간상에 놓여진 데이텀 점은 여전히 u방향, v방향, w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텀 점의 회전자유도는 제한되지 않는다.다시 말해 데이텀 점을 공간상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