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하공차 기초

기초 #03 FCF를 읽는 방법

FCF를 읽을 수 있다면, FCF에 의해 피쳐가 어떻게 통제되는지 알 수 있다. 예시를 통해 FCF를 읽는 방법을 알아보자.


일반적인 FCF의 구성

FCF는 다음과 같이 4종류의 정보를 포함한다.

1. 통제대상은 피쳐를 지시하여 나타낸다.

2. 통제특성은 기하공차 종류 심볼을 표기하여 나타낸다.

3. 통제정도는 공차영역을 정의하여 나타낸다.

4. 통제기준은 기준으로 삼으려는 피쳐를 데이텀 피쳐로 명시하여 나타낸다.


예시1 

 

① 지시한 피쳐가 통제대상이 된다.

② 특정 모양(평면)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통제특성]

③ 공차영역의 형상은 평행면형이다. [통제정도:형상]

④ 공차영역의 크기는 0.5이다. [통제정도:크기]


예시2 

지시한 피쳐가 통제대상이 된다. [통제대상]

특정 자세(수직)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통제특성]

 공차영역의 형상은 원통형이다. [통제정도:형상]

④ 공차영역의 크기는 ⌀0.3이다. [통제정도:크기]

⑤ 공차영역의 자세와 위치는 데이텀 피쳐 A에 의해 생성되는 DRF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통제기준]


예시3

지시한 피쳐가 통제대상이 된다. [통제대상]

 특정 위치에 가까운 정도를 통제한다. [통제특성]

 공차영역의 형상은 원통형이다. [통제정도:형상]

④ 공차영역의 크기는 ⌀0.5이고, 이는 피쳐가 MMC일 때 적용된다. [통제정도:크기]

⑤ 공차영역의 자세와 위치는 데이텀 피쳐 A, 데이텀 피쳐 B, 데이터 피쳐 C에 의해 생성되는 DRF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통제기준]

 

문의 : tolerancelab@gmail.com